윈도우11에서 MS EDGE(엣지) 브라우저를 이용해보다 사이틀 앱으로 만드는 기능을 발견했다. 그리고는 바로 macOS에 엣지를 설치하고 같은 기능이 작동하는지 테스트했다. 작동한다. 이제 엣지의 사용량이 늘어날 것이다. 브라우저를 거치지 않고 앱처럼 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상당히 큰 메리트가 된다. 물론 몇몇 사이트들에 대해서지만 말이다. 웹 사이트를 별도의 클라이언트처럼 만드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별개의 앱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고 브라우저에서 바로가기를 만들어서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엣지의 기능처럼 쉬우면서 깔끔한 형태를 제공하는 브라우저는 아직 없다. 손쉽게 만드는 앱, 엣지 설정 이 사이트를 앱으로 만들기 기능 이 사이트를 앱으로 만들기 기능은 정말 손쉽게 이용 가능하다. 우선 앱..
윈도우11을 설치해서 사용하면서 엣지를 접했다. 크로미움 엔진을 이용해서 그런지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악한 기운(?)을 많이 지워낸 느낌이다. 빠릿하고 편리하다. 같은 엔진을 이용하는 크롬 같은 느낌으로 다가와서 이질감이 적다. 윈도우11에서 엣지를 만지작 거리다 재미있는 기능을 하나 발견했다. 웹페이지를 앱으로 만드는 기능이다. 이게 예전부터 웹을 클라이언트화 하는 앱들이 있어서 가능하긴 했는데, 몇몇 사이트에서는 참 유용하게 활용이 가능한 기능이다. 윈도우11에서도 그렇지만 실질적으로 웹 작업이 많은 macOS에서 활용하기 좋은 기능이기에 MS EDGE(엣지)를 설치해봤다. 의외의 성능과 깔끔함에 놀라다. EDGE in macOS MS EDGE(다운로드) 페이지에 가면 macOS용 클라이언트 다운로드를..
윈도우11이 되면서 기본 브라우저가 엣지(Edge)가 됐다. 이는 기존의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이용하던 트라이던트(Trident) 엔진에서 크롬등이 이용하는 크로미움(chromium)으로 바뀌었다. 대부분의 기능이나 속도 등에서 우위를 보여주지만 아무래도 윈도우10까지 이용하던 익스플로러를 완전히 대체하지는 못한다. 아직 우리나라 웹들이 익스플로러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윈도우11로 서둘러 업데이트를 해버리면 조금 난감한 상황이 벌어지기도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마이크로소프트 엣지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드를 이용하면 약간이나마 대체가 가능하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도 익스플로러를 완전히 배제하지 않았다는 모습을 엿볼 수도 있다. 엣지의 설정을 쪼물딱하면 익스플로러가 딱! 엣지 브라우저를..
보안에는 좋지만 조금 불편해진 관리법 티스토리가 크게 변신을 하고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조금 과하게 변신한 부분도 느껴진다. 보안과 관련해서 어느순간 새로운 기기(브라우저) 인증이 도입됐다. 그런데 이게 동의나 알림 없이 기본으로 적용이 되어버려 당황스러운 상황들이 발생하기도 한다.노트북에 새로 설치한 브라우저에서 로그인을 시도하는데 메일이 오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난감했다. OS를 업데이트 했기 때문에 3개의 브라우저가 동시에 갱신됐다. 그런데 메일이 오지 않았다.방법이 없다. 그래서 과감히 보안을 낮추기로 결심했다. 쓸 수는 있어야 하는거 아닌가? 티스토리 로그인 허용 기기 변경 티스토리 새로운 기기(브라우저) 인증을 해결하기 위해서 로그인 허용 기기를 변경해주면 된다. 일단 변경 ..
레진을 이용하는 iBox Nano, 3D 프린터의 새로운 시도 3D Printer는 분명히 앞으로 많은 산업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예술 창작은 물론 산업에서도 시제품이나 정밀 구현을 위해 많이 활용되기 시작했고 범위를 넓혀가고 있으니 말이죠. 하지만, 아직까지는 개인이 사용하기에는 부담되는 가격과 유지비 사이즈등을 생각해보면 취미로 접근해보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아직도 넘어야할 벽이 높은 셈입니다. 하지만, 해외 펀딩 사이트인 에 등장한 아이박스 나노(iBox Nano)는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만한 제품일 듯 합니다. 재료, 가격, 사이즈. 3박자를 갖춘 아이박스 나노 아이박스 나노는 이름처럼 3D 프린터로는 나노급으로 사이즈가 작습니다. 그래서 사출해서 만들어낼 수 있는 사이즈도 한계가 있기는 합니다...
사람들의 OS선택도 늘어가고 그것에 맞춰 자신이 선호하는 웹브라우저도 다를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저만해도 플랫폼별로 선호하는 브라우저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이죠. 때마침 techcrunch.com에서 OS별 브라우저 속도비교를 한 기사가 있어서 소개합니다.Report: Internet Explorer 10 Is The Fastest Browser On Windows, Chrome 19 Wins On Mac 윈도우에서는 IE10, 맥에서는 크롬 19 ! 사파리는??? 요약을 하자면, 위의 표가 직관적으로 잘 설명하듯▶ [윈도우] IE 10, IE 9, Firefox 15, 사파리 5, 크롬 21 순 ▶ [맥] 크롬 19, 크롬 21, 크롬 22, 크롬 20, 크롬 18 순으로 정리 되었습니다. 크롬이 23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