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상적인 발전을 보여준 화웨이 메이트20 시리즈 스펙, 가격 정리 화웨이(HUAWEI)가 새로운 스마트폰 화웨이 메이트20(MATE20)을 발표했습니다. 화웨이 메이트20은 4가지 종류로 다양한 시도와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라인업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화웨이 메이트20, 메이트20 프로, 메이트20X, 메니트20 RS입니다. 각각의 특징들이 있으니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메이트20, 기준이 되는 모델 뒷면이 인상적 화웨이 메이트20은 6.5인치 1080x2244 LCD 디스플레이를 이용합니다. 화웨이 자체 AP인 기린980을 채용했고 4GB/6GB RAM, 128GB 스토리지, 초광각(17mm, 16MP), 표준(27mm, 12MP), 망원(52mm, 8MP) 트리플 카메라에 4000mAh 배터..
아이폰 XS? 넘버에 S를 붙이는 규칙 따를까? 애플은 아이폰의 새로운 넘버를 붙이고 나면 다음 해에는 s를 붙여 디자인을 유지해왔습니다. 그래서인지 최근에 아이폰X에서도 S붙여 아이폰XS, 아이폰XS 플러스로 명명할 가능성에 대해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목업으로 살펴보는 아이폰XS(플러스), 아이폰 2018 이번 루머의 소스는 MobileFun으로 새로운 아이폰용 케이스 페이스가 유출 되었던 적이 있습니다. 여기서 아이폰XS, 아이폰 XS 플러스라는 명칭을 이미 사용하고 있습니다. X가 10이기 때문에 충분히 가능성을 점쳐볼 수 있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목업을 통해 올 해 출시 할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폰 3종을 잘 비교해주고 있습니다. 단순히 명칭만이 아니라 목업을 통해 6.5인치와 5.8인치의 ..
삼성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 X 루머와 예상 이미지 얼마전부터 루머가 등장하기 시작한 삼성의 폴더블(foldable) 스마트폰 갤럭시 X. CES 2018에서는 전면에 소식이 들려오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전시장 뒷편에서 조용히 프로토 타입을 선보였다고 하는군요. 지금까지의 루머들과 함께 몇가지를 정리해보겠습니다. 펼치면 7.3인치의 갤럭시 X CES 2018에서 삼성은 갤럭시 X의 프로토 타입을 선보였다고 합니다. 전해지는 말에 따르면 루머로 알려졌던 힌지 스타일과 사이즈가 어느정도 맞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삼성은 현재 출시가 가능한 수준의 두 가지 타입을 가지고 있는데 디스플레이를 안으로 접는 방식과 밖으로 접는 방식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중 안으로 접는 방식이 채택될 가능성이 높다고 하는군요. 아쉽게..
인물사진 모드 포함한 아이폰 필터 사진 컴퓨터로 옮기기 아이폰X를 포함한 아이폰의 카메라를 이용하다보면 은근히 귀찮은 일이 있습니다. 인물사진 모드를 포함한 필터가 적용된 사진의 공유가 은근히 번거롭다는 점입니다. 평소 아이폰으로 찍고 스트림으로 맥에서 이용하거나 드랍박스를 이용해왔는데, 필터가 적용된 사진들은 제대로 PC로 옮겨지지가 않더군요. 그래서 몇가지 방법을 찾아봤습니다. 아이폰에서 옮겨지는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우선 인물사진 모드가 적용된 샘플입니다. 심도가 표현되는 느낌이 살아 있습니다. 아이폰에서 확인할 때는 문제없이 보여지고 다른 앱으로 사용할 때는 큰 문제가 없습니다. 맥에 있는 사진(photos)을 통해 옮겨진 동일 사진을 비교해보겠습니다. 클라우드(포토 스트림)를 통해 자동으로 백업..
아이폰X에서 바뀐 몇가지 방법들 아이폰8과 아이폰X에서 재시작, 강제종료(강제 재시작)등이 바뀌었다. 아이폰X에서 홈버튼이 없기 때문에 달라진 몇몇 기능을 알아보도록 하자. 아이폰X 스크린샷과 전원끄기 아이폰X 스크린샷은 볼륨 버튼과 잠금 버튼을 이용한다. 볼륨 업 버튼+잠금버튼을 짧게 누르면 스크린샷을 이용할 수 있고 길게 누르고 있으면 전원 끄기와 SOS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너무 길게 누르고 있으면 SOS 기능 때문에 소리가 나니 보이면 빨리 손을 떼는게 좋다. 조금 번거로운 아이폰X 강제종료 아이폰X에서 강제종료(강제 재시작)은 조금 번거로워졌다. 아이폰8과 방법이 동일하다. 하지만 약간 익숙해지는 과정이 필요하다.우선 아이폰X 강제종료 방법은 볼륨+, 볼룸 - 버튼을 순서대로 짧게 눌러준다...
배경화면으로 조금이라도 자연스럽게 아이폰X는 페이스ID의 센서들 때문에 전면 상단에 스크린이 사라지는 독특한 디자인이다. 해외에서는 노치(notch)로 불리고 한국에서는 M자 탈모로 불린다. 자연스럽게 받아 들이는 사람들도 많지만 아무래도 조금 거슬리는게 사실이다. 재치있는 사람들이 잠금화면과 홈화면을 위해 배경화면을 자연스럽게 바꾸기 시작했다. 좋아! 자연스러웠어! 발상의 전환으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보여준 예시이다. 커뮤니티 클리앙의 SBS토요일님이 만든 배경화면이다. 노치 부분의 검은 영역에 맞춰 배경화면을 만들면 된다.응용을 하면 자유롭게 활용이 가능하다. 노치가 아이폰X의 문제이고 재치는 개인의 문제이다. 스스로에게 어울리는 좋아 자연스러웠어를 찾아보면 좋을 듯 하다. 알림영역을 검게 속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