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 무제한 데이터, KT 데이터ON 프리미엄 요금제
몇 달 전에 LTE 데이터 선택 87.8 요금제로 변경했습니다. VIP혜택을 비롯한 다양한 혜택에 데이터투게더 Large도 무료가 되기 때문에 선택했었습니다. 그런데 얼마 전 KT에서 더 흥미로운 요금제가 등장해서 다시 바로 변경했습니다. LTE 데이터도 완전 무제한, 속도 제한도 없이 완전 무제한이 가능한 요금제인 데이터ON 요금제가 등장했기 때문입니다.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데이터ON으로 데이터 걱정? 속도 걱정? NO!
제가 서비스를 변경한 데이터ON 요금제는 프리미엄입니다. 부가세 포함해서 월 89,000원입니다. 하지만 데이터 투게더, VIP 혜택, Y데이터 박스 등으로 나누어 쓰는 데이터등을 모두 포함하면 체감은 6만원대 요금 정도가 되더군요.
제가 선택한 데이터ON 프리미엄이 아니더라도 데이터ON 비디오, 데이터ON 톡 요금제 등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모두 기존 요금제보다 데이터 제공량을 많이 늘린 요금제입니다. 특징은 제공되는 데이터를 소진해도 무제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프리미엄이 아닌 경우 요금제에 따라 속도 제한이 있을 뿐이죠.
KT 데이터ON 요금제를 비교해서 살펴보면 위와 같습니다. 복잡하지 않게 나누어진 세 가지 선택지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이름이 마음에 들더군요. 제가 선택한 데이터ON 프리미엄은 데이터가 완전 무제한입니다. 속도 제한도 없기 때문에 많은 데이터를 이용해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이전 LTE 선택 87.8은 20GB의 데이터였는데 비슷한 요금에 완전 무제한을 누릴 수 있습니다. 거기다 나머지 혜택도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데이터에서는 완전히 이득을 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데이터ON 비디오의 경우 100GB의 데이터가 속도 제한없이 기본 제공 되며 100GB를 소진 시 5Mbps의 속도로 무제한 이용이 가능합니다. 5Mbps는 HD급 동영상을 볼 수 있는 속도로 유투브나 넷플릭스 등의 스트리밍 동영상 이용에도 제한이 없는 수준의 속도입니다.
데이터ON 톡은 3GB 기본 제공에 최대 1Mbps로 인터넷 서핑이나 카톡 등을 이용하기에 부족함이 없는 속도입니다.
제가 LTE 데이터 선택 87.8 요금제로 변경했던 큰 이유 중 하나가 아이패드6세대를 구입하며 데이터투게더 Large 요금제를 무료로 이용하기 위해서였습니다. 별도로 가입하고 이용해도 되지만 VIP혜택등 요금제에 따른 혜택을 따져보면 오히려 이득인 부분들이 있더군요.
그리고 이번에 데이터ON 프리미엄으로 옮긴 이유도 데이터투게더와 관련이 많습니다. 기존 데이터투게더 Large 요금제의 경우 제공되는 기본 데이터가 1GB에 QoS 제한이 있는 서비스였습니다. 데이터 사용이 많은 편은 아니지만 그래도 은근히 아쉬운 부분이 남더군요.
그러나 데이터ON 프리미엄 요금제에서는 데이터투게더 서비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양도 늘어났습니다. 50GB가 별도로 제공되고 이후에 QoS 제한을 받게 됩니다. 1GB->50GB의 차이가 생겼습니다. 별도의 스마트디바이스를 데이터투게더로 묶어서 이용중이라면 분명히 생각을 해봐야할 옵션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외에 LTE 데이터 선택 87.8에서 받을 수 있었던 혜택들도 고스란히 데이터ON 요금제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데이터 제공량에서 더 많은 혜택이 들어간 요금제라고 생각하시면 편할 듯 합니다. 특히 프리미엄의 경우 여러가지 혜택에 완전 무제한 데이터라는 점은 큰 장점이 될 듯 합니다.
LTE 데이터 선택 87.8도 그랬지만 데이터ON 프리미엄 요금제가 모두에게 어울리는 요즘제는 아닙니다. 요금이 높아 부담될 수 있는 것도 사실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데이터투게더나 KT VIP 혜택, 그 외의 다른 서비스를 다양하게 이용중인 분들, 그리고 데이터를 특히나 많이 이용하시는 분들은 속도 제한 없는 완전 무제한 데이터라는 장점도 고려해보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데이터ON 요금제는 KT.com(바로가기)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그리고 실제 혜택에 대해서는 <비싼 요금제? 따져보면 실속있는 KT LTE 데이터선택 87.8 요금제> 글을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관련글
KT에서 데이터를 나누는 방법, Y데이터박스와 패밀리박스 살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