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의 열풍이 몇 해전부터 불고 이제는 모바일과 결합하여 생활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트위터, 페이스북이 중심이 되고 google+가 google의 힘을 빌어 무섭게 성장하고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페이스북을 능가하거나 따라잡을 서비스가 과연 어떤 모습일까? 무척이나 궁금합니다.
사실 트위터, 페이스북의 성장을 보면서 수많은 서비스들이 나타났지만, 비슷한 수준의 서비스로 이미 거대하게 토착세력이 되어버린 서비스들을 따라잡기란 쉽지가 않죠.
하지만, 최근 많이 보이던 서비스 이름이 '핀터레스트(Pinterest)'였고, 심상치 않은 속도로 성장을 하고 있습니다.
저도 얼마전부터 핀터레스트를 이용하는 시간이 늘고있고, 상당히 재미난 시스템이라 페이스북과는 또다른 의미와 포인트에서 크게 성장할 서비스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때마침 핀터레스트에 대한 깔끔한 인포그래픽이 있어서 이를 바탕으로 핀터레스트를 살펴보고 생각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핀터레스트의 놀라운 성장 속도
2010년에 런칭한 핀터레스트는 2011년 3월에 평균 13.7분의 체류시간에 418천명의 평균 방문자에서 2년 가량 지난 시점인 2012년 1월에는 97.8분에 11,716천명의 방문자를 기록하게 됩니다.
인원의 증가도 의미가 있지만, 그보다 체류시간이 늘어난 것이 눈에 띄는군요.
인원의 증가도 의미가 있지만, 그보다 체류시간이 늘어난 것이 눈에 띄는군요.
미국내에서의 통계이고 만약 전세계를 기준으로 통계를 낸다면 아직 저정도의 의미있는 수치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래도 무서운 성장세는 분명한 것 같습니다.
우리와 다른 SNS환경에서 Linked in, google+ 등 이후로 의미있는 수치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이니깐요.
저 인원의 구성 성비가 80(여):20(남) 이라는 사실도 큰 의미가 있습니다.
(이 부분은 전체를 살펴보고 다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저 인원의 구성 성비가 80(여):20(남) 이라는 사실도 큰 의미가 있습니다.
(이 부분은 전체를 살펴보고 다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핀터레스는 새로운 마케팅도구???
이 파트에서는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와의 본격적인 비교를 해봅니다.
런칭 후 1~2년 사이의 증가추세
런칭 후 1~2년 사이의 증가추세
핀터레스트(2010) : 1,040만명
페이스북(2004) : 600만명
트위터(2006) : 300만명
구글+(2011) : 900만명
트위터(2006) : 300만명
구글+(2011) : 900만명
으로 정리가 되는데, 이 수치를 보면서 단순히 핀터레스트의 런칭 후 증가세가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보다 좋구나? 라고 생각하면 안될 것 같습니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의 진입시기의 SNS에 대한 인프라와 인식등이 다르기 때문이죠.
또한, 선행한 서비스들이 만들어놓은 인프라의 덕을 보기도 하는 부분이 있으니깐요.
다만, 페이스북이나 트위터가 모바일과 결합해서 비약적으로 커진것에 비하면 핀터레스트는 아무래도 웹에서의 활용이 더욱 크다는 점도 감안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의외로 국내에서는 아직 힘을 덜 발휘하는 구글+의 성장세가 더 눈에 들어오는군요!!!)
멤버수 (2012년 2월 기준)
총인원수에 대해서는 역시 페이스북이 독보적이군요.
구글+의 파이에 비해서도 핀터레스트는 아직 좀 많이 부족한 부분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다른 서비스들에 비해서 비교 급부까지는 성장했다는 점을 높게 평가해야될 것 같습니다.
구글+는 구글이라는 인프라를 등에 지고 있으니깐요;;;
연결 트래픽 발생량(2012년 1월)
조금은 어려운 개념이 될 수 있지만, 쉽게 생각해서 링크를 통해서 해당 사이트를 방문하게 되는 트래픽이라고 이해하면 쉬울 것 같습니다.
페이스북과 트위터는 개인이 직접 올리는 컨텐츠도 많겠지만, 링크를 쉽게 만들어준다는 의미가 강한데, 핀터레스트도 트위터에 맞먹는 수준의 링크연결력을 가진다는 뜻이니깐요.
이 수치는 마케팅의 측면에서도 상당히 큰 의미가 될 것 같습니다. 생긴지 얼마되지 않는 서비스가 트위터와 맞먹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니 앞으로의 성장세도 기대해봐야겠죠?
그리고 선점효과도 노려볼만 할 듯 합니다.
핀터레스트의 가장 큰 특징이고 USP가 되는 점이지만, 이미지들을 중심으로 비주얼 불레틴 보드를 만들어준다는 점입니다.
좋아하는 것들을 핀으로 꽂아서 한쪽벽을 채우듯 말이죠.
거기다 관심사별로 손쉽게 스크랩하거나 정리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그 설정 또한 손쉽다는게 큰 특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물론, SNS의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Like와 REPIN의 기능을 통해 편의를 제공합니다.
개인적으로도 사용해보면서 Repin의 편리함에 놀라고 있었고 Repin의 비중이 상당히 높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역시나 통계에서도 Repin이 80%를 차지하는군요.
정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확산의 측면에서 엄청난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해볼 수 있습니다.
연령, 성별, 수입, 교육에 따른 통계치들인데, 연령이나 수입, 교육에 대해서는 다른 SNS의 주 이용층과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통계치에서 가장 주목해봐야할 부분은 성별이며, 20:80!!! 무려 여성의 비율이 80%에 달한다는 점에 주목해야만 합니다!
이 비율이 핀터레스트의 특징을 가장 손쉽게 설명해줄 수 있으며 가장 큰 무기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또한, 이용해보니 여성적 감성에 더욱 어울리도록 디자인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Referral traffic을 높게 불러일으키며 이미지를 통한 마케팅? 거기다 80%의 여성비율.
쉽게 생각해서 의류나 소비재, 명품 브랜드가 먼저 떠오르지만 아직까지 핀터레스트에서는 집가꾸기나 식품, 소품, 책 등의 부분들이 클라이언트로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고 하는군요.
옆의 사진에 나오는 5개의 브랜드라는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
다만, 의미있는 수치들을 감안할 때, 핀터레스트는 마케팅 도구로써 참으로 매력적이라는 점입니다!
(제가 구독하는 피너중 피겨를 전문으로 하는 그룹이 있는데, 이미지 중심으로 홍보를 하니... 혹! 하더군요.. ㅠ_ㅠ)
직관적이고 간략하게 핀터레스트의 의미있는 통계치를 정리했지만, 위에서 살펴본 내용들의 요약정도가 될 것 같습니다.
다만, 페이스북 사용자의 1/5에 해당하는 인원이 핀터레스트도 매일 이용한다는 점이군요.
저도 재미난 이미지들과 소스들을 모아두기 위해 시작했지만, 공유를 위해서는 아직 페북을 이용하는 것을 생각해보면 쉽게 이해가 됩니다.
페이스북이 인맥의 소식과 업데이트 그리고 공유를 위해 체류 한다면 핀터레스트는 이미지를 검색하고 리핀하는 행위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여 체류시간이 길다는 차이점을 의미를 두고 싶습니다.
라이크, 리핀(공유), 팔뤄잉과 팔뤄워, 뉴스피드와 같은 메인화면... 트위터나 페이스북을 통해 익숙한 개념들이 차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컨텐츠를 전부 이미지화 해버려 직관성을 높이고 알록달록 나만의 클립보드를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은 핀터레스트의 가장 큰 무기이자 핀터레스트를 전혀 새로운 서비스로 만들어버렸습니다.
거기다 사용해보면 처음에는 조금 익숙하지 않을 수 있지만, 점점 키보드의 사용이 거의 필요없다는 점을 알게되면....
핀터레스트가 가진 무서울 정도의 편의와 소비성향, 개인적인 흥미가 유발한 확산 능력에 놀라게 됩니다.
통계의 수치에서도 보여지지만, 페이스북 이후로 과연 어떤 포맷의 SNS서비스가 자리잡을 수 있을까? 라는 물음에 하나의 대답으로도 충분히 어울리며 앞으로의 성장을 눈여겨 봐야만 할 서비스인 것 같습니다.
핀터레스트는 interesting을 pinning한다는 의미로 스크랩하고 모아두는 개념이지만, 그것 자체가 새로운 의미의 컨텐츠를 생산 혹은 재생산 하지는 않습니다. 물론 시간이 지나 콜렉션의 의미를 가지는 새로운 컨텐츠가 될 수도 있겠지만, pinning이라는 것 자체가 생산보다는 소비를 위한 행위이기 때문이죠.
핀터레스트는 지극히 소비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그 소비를 위한 편의가 극대화 되어 있고 콜렉션을 위해 또다시 pinning을 반복하게 됩니다.
마우스 클릭 몇 번으로 자신만의 멋진 콜렉션을 만들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는 즐거움을 사람들은 즐깁니다.
이러한 소비성향은 좀 더 여성적인 성향과 더 잘 부합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차벌적 발언이 아닙니다. ^^;;)
핀터레스트가 가진 간과할 수 없는 포인트는 그런 소비성향에 의미를 부여한 것입니다.
타인들의 눈에 의미없게 보일 수 있는 웹서핑. 특히나 여성들이 자신들만의 흥미를 위해 취하게 되는 웹서핑을 멋진 핀보드로 포장을 해줍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하고 손쉬운 커뮤니티를 형성해버린 것입니다. 특히나 유사한 관심사를 가진 여성들이 어렵지 않은 방법으로 서로의 웹서핑 정보를 교환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이미지 중심의 서비스가 아니라 여성들의 마음 속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고 needs를 끍어낸 것 같은 느낌마저 드는군요.
UI도 그렇지만, 쓸수록 80%가 수긍될 뿐입니다.
세상은 남자가 지배하고, 남자는 여자가 지배한다.
여성비하의 발언도 아니고, 산업의 구조를 생각해보면서 제가 가진 생각이며 핀터레스트를 바라보는 관점이기도 합니다.
손쉬운 케이스로 우리가 한동안 열광했고, 아직도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네이트의 미니홈피를 생각해보겠습니다.
개인 홈페이지나 블로그를 운영하던 사람들에게는 오히려 서비스의 구조와 특히 이미지를 다루는 부분에서 큰 불만을 들었었습니다.
하지만, 오히려 그런 미니멀리즘이 여성적 취향과 잘 부합했고 당시 동창커뮤니티 등과 같은 네트워크 서비스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여성 이용자들의 미니홈피로 몰립니다. 뒤따라 기하급수적으로 미니홈피가 발전하게 됩니다.
유사한 경우들도 많겠지요?
제가 취미로 활동하는 소셜댄스 동호회에서 후배들에게 조용하게 해주는 말로 일축해봅니다.
"꽃이 향기로우면 벌은 자연스럽게 모인다."
80%의 여성비율은 이미 상당한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페이스북과 트위터가 아무래도 중심이 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SNS시장에서 Linkedin과 google+ 점유율을 기대하기는 힘들지만, 핀터레스트의 성장을 조심스럽게 점쳐보게 됩니다.
저는 핀터레스트의 국내상륙!
빠르면 상반기, 늦어도 올해 안으로 위의 통계치와 비슷한 수치가 나오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저는 잘몰라서 신청해서 며칠만에 등록승인을 얻게 되었지만, invite를 이용한 인맥관리와 소속감도 오히려 맘에 들더군요.
페북처럼 다른 인맥 소스를 이용해서 인맥을 급 확장할 수는 없겠지만, 그것이 오히려 핀터레스트의 장점이 될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해봅니다. 그런 커뮤티니의 성격이 충성도를 높여주기도 하니깐요.
끝으로, 저의 예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아니지만, 재미난 서비스를 공유하는 차원에서 invite가 필요하신 분들은 부족한 저라도 작은 도움이 되어볼까 합니다. ^^ (e-mail 남겨주시면 초대해드릴께요~)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의 진입시기의 SNS에 대한 인프라와 인식등이 다르기 때문이죠.
또한, 선행한 서비스들이 만들어놓은 인프라의 덕을 보기도 하는 부분이 있으니깐요.
다만, 페이스북이나 트위터가 모바일과 결합해서 비약적으로 커진것에 비하면 핀터레스트는 아무래도 웹에서의 활용이 더욱 크다는 점도 감안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의외로 국내에서는 아직 힘을 덜 발휘하는 구글+의 성장세가 더 눈에 들어오는군요!!!)
멤버수 (2012년 2월 기준)
핀터레스트(2010) : 1,040만명
페이스북(2004) : 8억 4,500만명
트위터(2006) : 2억명
구글+(2011) : 9,000만명
트위터(2006) : 2억명
구글+(2011) : 9,000만명
구글+의 파이에 비해서도 핀터레스트는 아직 좀 많이 부족한 부분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다른 서비스들에 비해서 비교 급부까지는 성장했다는 점을 높게 평가해야될 것 같습니다.
구글+는 구글이라는 인프라를 등에 지고 있으니깐요;;;
연결 트래픽 발생량(2012년 1월)
핀터레스트(2010) : 3.6%
페이스북(2004) : 26.4%
트위터(2006) : 3.61%
링크드인 : 0.20%
구글+(2011) : 0.22%
트위터(2006) : 3.61%
링크드인 : 0.20%
구글+(2011) : 0.22%
페이스북과 트위터는 개인이 직접 올리는 컨텐츠도 많겠지만, 링크를 쉽게 만들어준다는 의미가 강한데, 핀터레스트도 트위터에 맞먹는 수준의 링크연결력을 가진다는 뜻이니깐요.
이 수치는 마케팅의 측면에서도 상당히 큰 의미가 될 것 같습니다. 생긴지 얼마되지 않는 서비스가 트위터와 맞먹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니 앞으로의 성장세도 기대해봐야겠죠?
그리고 선점효과도 노려볼만 할 듯 합니다.
핀터레스트의 특징들
좋아하는 것들을 핀으로 꽂아서 한쪽벽을 채우듯 말이죠.
거기다 관심사별로 손쉽게 스크랩하거나 정리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그 설정 또한 손쉽다는게 큰 특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물론, SNS의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Like와 REPIN의 기능을 통해 편의를 제공합니다.
Pin : 자신의 게시물 혹은 사이트, 이미지들을 업로드하는 기능 - 즐겨찾기에 'Pin it'버튼을 통해 손쉽게 작동 가능합니다.
Repin : 다른 사람들의 핀(게시물)을 자신의 보드에 스크랩합니다. 스크랩과 동시에 자신의 핀으로 다시 등록됩니다.
Board : 관심사별로 핀들을 모아둡니다. 카테고리의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역시나 이미지 중심입니다.
정보의 생산도 중요하지만, 확산의 측면에서 엄청난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해볼 수 있습니다.
핀터레스트의 인문학적 통계
하지만, 이 통계치에서 가장 주목해봐야할 부분은 성별이며, 20:80!!! 무려 여성의 비율이 80%에 달한다는 점에 주목해야만 합니다!
이 비율이 핀터레스트의 특징을 가장 손쉽게 설명해줄 수 있으며 가장 큰 무기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또한, 이용해보니 여성적 감성에 더욱 어울리도록 디자인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마케팅으로의 핀터레스트
쉽게 생각해서 의류나 소비재, 명품 브랜드가 먼저 떠오르지만 아직까지 핀터레스트에서는 집가꾸기나 식품, 소품, 책 등의 부분들이 클라이언트로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고 하는군요.
옆의 사진에 나오는 5개의 브랜드라는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
다만, 의미있는 수치들을 감안할 때, 핀터레스트는 마케팅 도구로써 참으로 매력적이라는 점입니다!
(제가 구독하는 피너중 피겨를 전문으로 하는 그룹이 있는데, 이미지 중심으로 홍보를 하니... 혹! 하더군요.. ㅠ_ㅠ)
핀터레스트의 강력한 통계
다만, 페이스북 사용자의 1/5에 해당하는 인원이 핀터레스트도 매일 이용한다는 점이군요.
저도 재미난 이미지들과 소스들을 모아두기 위해 시작했지만, 공유를 위해서는 아직 페북을 이용하는 것을 생각해보면 쉽게 이해가 됩니다.
페이스북이 인맥의 소식과 업데이트 그리고 공유를 위해 체류 한다면 핀터레스트는 이미지를 검색하고 리핀하는 행위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여 체류시간이 길다는 차이점을 의미를 두고 싶습니다.
새롭지만 전혀 새롭지 않은 서비스 Pinterest
핀터레스트를 한달여 사용해보고 있지만, 서비스의 근간을 이루는 개념들은 전혀 새롭지 않습니다.
라이크, 리핀(공유), 팔뤄잉과 팔뤄워, 뉴스피드와 같은 메인화면... 트위터나 페이스북을 통해 익숙한 개념들이 차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컨텐츠를 전부 이미지화 해버려 직관성을 높이고 알록달록 나만의 클립보드를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은 핀터레스트의 가장 큰 무기이자 핀터레스트를 전혀 새로운 서비스로 만들어버렸습니다.
거기다 사용해보면 처음에는 조금 익숙하지 않을 수 있지만, 점점 키보드의 사용이 거의 필요없다는 점을 알게되면....
핀터레스트가 가진 무서울 정도의 편의와 소비성향, 개인적인 흥미가 유발한 확산 능력에 놀라게 됩니다.
통계의 수치에서도 보여지지만, 페이스북 이후로 과연 어떤 포맷의 SNS서비스가 자리잡을 수 있을까? 라는 물음에 하나의 대답으로도 충분히 어울리며 앞으로의 성장을 눈여겨 봐야만 할 서비스인 것 같습니다.
female 80%의 의미와 기대
<글을 쓰는 시점에서 design 섹션을 스크랩 해봤습니다.>
지극히 소비적이다. 하지만, 생산의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핀터레스트는 interesting을 pinning한다는 의미로 스크랩하고 모아두는 개념이지만, 그것 자체가 새로운 의미의 컨텐츠를 생산 혹은 재생산 하지는 않습니다. 물론 시간이 지나 콜렉션의 의미를 가지는 새로운 컨텐츠가 될 수도 있겠지만, pinning이라는 것 자체가 생산보다는 소비를 위한 행위이기 때문이죠.
핀터레스트는 지극히 소비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그 소비를 위한 편의가 극대화 되어 있고 콜렉션을 위해 또다시 pinning을 반복하게 됩니다.
마우스 클릭 몇 번으로 자신만의 멋진 콜렉션을 만들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는 즐거움을 사람들은 즐깁니다.
이러한 소비성향은 좀 더 여성적인 성향과 더 잘 부합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차벌적 발언이 아닙니다. ^^;;)
핀터레스트가 가진 간과할 수 없는 포인트는 그런 소비성향에 의미를 부여한 것입니다.
타인들의 눈에 의미없게 보일 수 있는 웹서핑. 특히나 여성들이 자신들만의 흥미를 위해 취하게 되는 웹서핑을 멋진 핀보드로 포장을 해줍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하고 손쉬운 커뮤니티를 형성해버린 것입니다. 특히나 유사한 관심사를 가진 여성들이 어렵지 않은 방법으로 서로의 웹서핑 정보를 교환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이미지 중심의 서비스가 아니라 여성들의 마음 속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고 needs를 끍어낸 것 같은 느낌마저 드는군요.
UI도 그렇지만, 쓸수록 80%가 수긍될 뿐입니다.
세상은 남자가 지배하고, 남자는 여자가 지배한다.
많이 들어본 말이지요?
여성비하의 발언도 아니고, 산업의 구조를 생각해보면서 제가 가진 생각이며 핀터레스트를 바라보는 관점이기도 합니다.
손쉬운 케이스로 우리가 한동안 열광했고, 아직도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네이트의 미니홈피를 생각해보겠습니다.
개인 홈페이지나 블로그를 운영하던 사람들에게는 오히려 서비스의 구조와 특히 이미지를 다루는 부분에서 큰 불만을 들었었습니다.
하지만, 오히려 그런 미니멀리즘이 여성적 취향과 잘 부합했고 당시 동창커뮤니티 등과 같은 네트워크 서비스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여성 이용자들의 미니홈피로 몰립니다. 뒤따라 기하급수적으로 미니홈피가 발전하게 됩니다.
유사한 경우들도 많겠지요?
제가 취미로 활동하는 소셜댄스 동호회에서 후배들에게 조용하게 해주는 말로 일축해봅니다.
"꽃이 향기로우면 벌은 자연스럽게 모인다."
80%의 여성비율은 이미 상당한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조심스럽게 예측하는 국내 상륙!
저는 핀터레스트의 국내상륙!
빠르면 상반기, 늦어도 올해 안으로 위의 통계치와 비슷한 수치가 나오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저는 잘몰라서 신청해서 며칠만에 등록승인을 얻게 되었지만, invite를 이용한 인맥관리와 소속감도 오히려 맘에 들더군요.
페북처럼 다른 인맥 소스를 이용해서 인맥을 급 확장할 수는 없겠지만, 그것이 오히려 핀터레스트의 장점이 될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해봅니다. 그런 커뮤티니의 성격이 충성도를 높여주기도 하니깐요.
끝으로, 저의 예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아니지만, 재미난 서비스를 공유하는 차원에서 invite가 필요하신 분들은 부족한 저라도 작은 도움이 되어볼까 합니다. ^^ (e-mail 남겨주시면 초대해드릴께요~)